반응형
자바 문법 - 조건문
1. 조건문
1)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른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2) 조건문에는 if문, switch문이 있다.
2. if문
1) if문 문법은 아래와 같다.
if(조건식) {
수행문;
// 조건식이 '참'인 경우에 수행문이 수행된다.
}
// 조건식이 '참'이 아닌 경우에 수행문이 수행되지 않는다.
2) if - else문 문법은 아래와 같다
if(조건식) {
수행문 1;
// 조건식이 '참'인 경우에 수행한다.
} else {
수행문 2;
// 조건식이 '참'이 아닌 경우에 수행한다.
}
3) 조건이 여러 개 일 때의 if문에는 if - else if - else문이 있다. 하나의 상황에 대한 조건식이 여러 개로 나뉘고 각 조건에 따라 다른 수행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 사용한다. 그리고 else if 절은 중간에 얼마든지 추가 가능하다. 문법은 아래와 같다.
if(조건식) {
수행문 1;
//조건식이 '참'인 경우에 수행하고 전체 조건문을 빠져나간다.
} else if(조건식 2) {
수행문 2;
//조건식 2가 '참'이 아닌 경우에 수행하고 전체 조건문을 빠져나간다.
} else if(조건식 3) {
수행문 3;
//조건식 3이 '참'이 아닌 경우에 수행하고 전체 조건문을 빠져나간다.
} else if(조건식 4) {
수행문 4;
//조건식 4가 '참'이 아닌 경우에 수행하고 전체 조건문을 빠져나간다.
} else if(조건식 5) {
수행문 5;
//조건식 5가 '참'이 아닌 경우에 수행하고 전체 조건문을 빠져나간다.
} else {
// 위 조건이 모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수행된다.(디폴트 조건)
} 수행문 6;
위의 조건문과 상관없이 사용된다.
예) 조건식 4가 만족되면 수행문 4 -> 수행문 6
Switch-case문
1) 비교 조건이 특정 값이나 문자열일 경우 가독성 좋게 구현된다.
2) 문법은 아래와 같다.
switch(조건식) {
case 1 :
처리 1;
break;
case 2 :
처리 2;
break;
.
.
.
default:
처리 n;
}
3) break 문을 사용하여 각 조건이 만족되면 switch 블록을 빠져나오도록 한다.
4) Java 14부터 지원되는 switch expression
- 간단하게 쉼표(,)로 조건을 구분하는 게 가능하다.
- yield 키워드 사용한다.
- 반환 값을 받을 수 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Java] 반복문 (for, while, do-while, break, continue) (0) | 2022.08.25 |
---|---|
[자바 - Java] 메서드 호출(Method) (0) | 2022.08.24 |
[자바 - Java] 개발자 환경 세팅 - JDK (0) | 2022.08.22 |
[자바 - Java] 콘솔 출력 및 입력 (0) | 2022.08.22 |
[자바 - Java] 연산자 종류 우선순위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