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을 사색하다
  • 홈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프로그래밍
        • AWS
        • Java
        • SQL
        • HTML & CSS
        • Spring
        • Python
        • Machine Learning
        • Statistics
      • Issues
      • ZIO. 일상
        • TV, 영화 리뷰
        • 생활정보
        • knowledge
      • 사회, 시사, 경제
        • 가상화폐
        • 한 발 한 발 딛는 중
      • 블로그 운영하기
  • 홈
프로그래밍/Java

[자바 - Java] 예외처리 오류처리 try catch finally exception throw

1. 프로그램에서의 오류 1) 컴파일 오류 - 프로그램 코드 작성 중 발생하는 문법적 오류가 있다. - 대부분의 컴파일 오류는 detection 된다. 2) 실행 오류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버그로 인해 이상 동작을 하거나 프로그이 중지 되는 오류가 있다. - 비정상 종료가 되는 경우 => 시스템의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2. 오류 (error) 1) 시스템 오류 - 동적 메모리가 없는 경우, 스택 메모리 오버플로우 등 - 프로그래머가 처리 할 수 없는 오류 2) 예외 (Exception) - 프로그래머가 제어할 수 있는 오류. 예) 읽어들이려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네트워크 이나 DB 연결이 안되는 경우 등 - 자바는 안전성이 중요한 언어로 대부분 예외로 인한 오류에 대해 예외 처리를 해..

2022. 9. 12. 10:59
프로그래밍/Java

[자바 - Java] 스트림 연산 특징 filter map sorted

1. 스트림(Stream) 1) data의 흐름을 말한다. 2) 컬렉션(Collection) 형태로 구성된 데이터를 람다를 이용해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프로세스하게 해준다. - 배열, 컬렉션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한다. - 일관성 있는 연산으로 자료의 처리를 쉽고 간단하게 해준다. 3) for, while 등을 이용하던 기존 loop을 대체해서 쓸 수 있다. 4) 손쉽게 병렬 처리를 할 수 있게 해준다. 2. 스트림 특징 1) 한번 생성하고 사용한 스트림은 재사용 할 수 없다. - 자료에 대한 스트림을 생성하여 연산을 수행하면 스트림은 소모된다. - 다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트림을 다시 생성해야한다. 2) 스트림 연산은 기존 자료를 변경하지 않는다. - 자료에 대한 스트림을 생성하면 스트림이 사용하..

2022. 9. 11. 09:46
프로그래밍/Java

[자바 - Java]프로그래밍 방법론 - 객체지향 함수형 프로그래밍 람다식

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함수형 프로그래밍 1) 람다 계산법 사용된 식을 프로그래밍 언어에 접목 2) 람다식 => 매개변수를 가진 코드 블록 => 익명 내부 객체를 생성해서 만들어진다. 2. 람다식 문법 1)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를 생성하기 위한 식이다. 2) 매개 변수와 매개 변수를 이용한 실행문 (매개변수) -> {실행문;} 예) add() 함수 - (두 수를 입력 받아서 더하는 함수) int add(int x, int y) { return x+y; } - 람다식 표현 방법 (int x, int y) -> {return x+y;} - 매개 변수가 하나인 경우 자료형과 괄호가 생략 가능하다. str -> {System.out.println(str);}; - 매개 변수가 두 ..

2022. 9. 10. 10:41
프로그래밍/Java

[자바 - Java]프로그래밍 방법론 - 함수형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1급 시민, 구조적 프로그래밍, 절차식 프로그래밍, 순수함수

1. 프로그래밍 방법론 1) 절차식 프로그래밍 : 순차적인 명령을 수행하고 간단한 분기만 가능하다. 2) 구조적 프로그래밍 : 특정 변수를 묶어 구조화하고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의 효율을 높인다. 3)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되며 클래스, 속성, 기능들의 현실 세계 모델을 반영한다. 4) 함수형 프로그래밍 : 객체의 형태를 벗어나 함수형을 확장해 함수를 변수처럼 사용 가능하다. 2. 명령형 프로그래밍 vs 선언형 프로그래밍 1) 명령형 프로그래밍(Imperative Programming) - OOP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How) 예) 이메일을 담을 리스트 선언 -> 루프 -> 검증되지 않았는지 체크 -> 않았다면 변수에 이메일 추출 -> 이메일 리스트에..

2022. 9. 9. 10:15
프로그래밍/Java

[자바 - Java] 내부 클래스 ; 인스턴스 정적 지역 익명 클래스

1. 내부 클래스 (inner class) 1) 클래스 내부에 선언한 클래스이다. 2) 내부 클래스를 감싸고 있는 외부 클래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3) 다른 외부 클래스에서 사용할 일이 거의 없는 경우에 내부 클래스로 선언해서 사용한다. 4) 중첩 클래스라고도 한다. 2. 내부클래스의 종류 1) 인스턴스 내부 클래스 - 내부적으로 사용할 클래스를 선언한다. (private으로 선언하는 것을 권장한다.) - 외부 클래스가 생성된 후 생성된다. 2) 정적(static) 내부 클래스 - 외부 클래스 생성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정적 변수, 정적 메서드 3) 지역(local) 내부 클래스 - 지역 변수처럼 메서드 내부에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클래스이다. - 메서드 호출이 끝나면 메서드에 사용된 지역변..

2022. 9. 8. 09:57
프로그래밍/Java

[자바 -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 인터페이스 List Set Map Iterator

1. 자료구조 (data structure) 1)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많은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서 관리하는 여러 구현 방법들이다. 2) 효율적인 자료구조가 성능 좋은 프로그램의 기반이다. 3)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는 프로그램의 수행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4)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2. 자료구조 종류 1) 선형 자료구조 : 한 줄로 자료를 관리하기 배열(Array) -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를 먼저 할당받아 사용 - 자료의 물리적 위치와 논리적 위치가 같음 -연결 리스트 (LinkedList) - 선형으로 자료를 관리 - 자료가 추가될 때 마다 메모리를 할당 받고, 자료는 링크로 연결됨 - 자료의 물리적 위치와 논리적 위치가 다를 수 있음 3. 트리(Tree) -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간..

2022. 9. 7. 09:46
  • «
  • 1
  • 2
  • 3
  • 4
  • 5
  • 6
  • »
반응형
160x600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사색을 사색하다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