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Java
[자바 - Java] 상수 리터럴 함수 형변환
상수, 리터럴, 형 변환 1. 상수(Constant) 1)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이다. 2) 리터럴(상수), final 상수가 있다. 3) 상수를 사용하면 변하지 않는 값을 반복하여 사용할 때 의미가 있다. 혹, 변하더라도 선언한 부분만 변경하면 되므로 여러 부분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2. 리터럴(Literal) 1)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숫자, 문자, 논리 값을 뜻한다. 2) 변수에 대입하던 모든 숫자, 문자, 논리 값들이 리터럴이다. 정수 리터럴은 int로 저장된다. 정수의 범위가 넘어가는 경우는 L, l 식별자를 써줘야 한다. 실수 리터럴은 double로 저장된다. float로 사용하는 경우는 F, f 식별자를 써줘야 한다. 3) 리터럴은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 특정 메모리 공간인 상수 풀(Cons..
2022. 8. 18. 15:15